Ai 생성 잡썰-2
지난번에도 짧게 ai이미지 생성에 관해 잡썰을 썼습니다.
이번에도 그냥 잡썰입니다.
제가 쓰는 툴은 개인 컴퓨터에서 로컬로 직접 제작해서 돌리는 방식을 쓰기때문에
성능자체는 아무래도 기업형 ai보다 떨어지는 편이지만 (물론 나노바나나 같은 괴물이랑 비교해서
안떨어지는 ai생성이 어디 있겠습니까만...)
한참 성인검열을 잠시 풀어주던 그록에 비해서는 딱히 떨어지는 감은 없는편입니다.
유일한 단점은 개인 컴퓨팅 파워에 의존하는 만큼, 그래픽 카드가 사양이 되어야하고
딸각이 아니라 상당히 공부에 투자를 좀 해야하는게 좀 어렵긴 합니다만.
오픈소스로 공개된 수많은 기본 베이스 모델중. 근래엔 Qwe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Qwen이 기존 Flux모델에 비해 다소 무겁고
고사양을 요구하는대신, Flux특유의 인공미가 줄어들기도 하고, 영문이나 중문 텍스트 인식은 비교적 괜찮은 편입니다.
인물의 동일성을 유지하는데는 나노바나나에 비해 좀 부족하지만, 사진 자체의 퀄리티는 그래도 비슷하게 따라갑니다.
그리고 이렇게 Qwen모델로 생성한 이미지를
다시 로컬로 영상으로 제작을 할수가 있습니다.
https://vimeo.com/1139768065?share=copy&fl=sv&fe=ci
여기는 영상을 본문에 게시할수가 없어 링크로 대체합니다.
로컬로 직접 개인 컴퓨터로 돌릴수 있는 최대의 장점은 무료라서가 아니라 '검열'을 피할수 있고.
원하는 특정 인물로 제작을 할수 있다는점에 있습니다.
다만 이경우 초상권이든 뭐든, 법적으로 문제가 당연히 있을수 밖에 없기에
저역시 이부분은 공개적으로 제작하지도 올리지도 않습니다.
물론 그것도 쉬운일은 아닌게...
단순히 사진 한장을 수정하는건 쉽지만, 어떠한 모델로서 기용하는데엔 다른 방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Ai 기본 모델을 사용한 이미지입니다. 성인쪽 컨텐츠를 조금이라도 보여드리려면, 이렇게 2.5-D스타일로 한번 바꾸는것이
초상권이든 아니면 실존인물이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을 지우기 편해서 일부러 2.5D 스타일로 한번 변환을 시켰습니다.
모든 조건을 동일하게 걸어준후, 일종의 펜슬 아트 타입의 (lora)의 경향성에 무게를 좀더 주는 방식으로 변환을 합니다.
이건 챗gpt에서 한동안 유행하던 지브리스타일로 바꾸는것과 비슷한 방식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2.5d의 검열을 살짝 풀은 이미지 입니다. 사실 노골적인 표현도 가능하지만, 여기서도 일정 수위 이상은 짤리기 때문에
이정도로 약하게 타협을 봤습니다.
그리고 해당 사진을 영상으로 다시 바꾸어 보았습니다.
https://vimeo.com/1139766392?share=copy&fl=sv&fe=ci
이런 경우는 사실 이미지쪽에서도 검열을 해제해야하고, 다시 이미지를 영상으로 제작할때도 검열을 해제한
버전으로 상황에 맞춰서 제작을 해야합니다.
검열이 해제 되었다고 해도, 모든 상황에 학습이 되는게 아닌만큼, 되는데엔 역시나 한계가 있긴 합니다만
적어도 이부분은 메이저 ai생성보단 훨씬 나은 결과를 가져옵니다.
실사에 대한건 제가 올리지 못하지만, 대충 이런 느낌으로 제작이 되는건 비슷하긴 합니다.
정보 공유나 관련 대화는
@polapo00 텔레그램으로 메세지 주세요. 누굴 가르쳐드릴 입장은 안되지만. 가벼운 문답정도는 가능합니다.
혹은 제작 의뢰도 가능합니다.
블루메딕 후기작성시 10,000포인트 증정
- 글이 없습니다.


OECD
